
겨울 대비 꿀팁
경동나비엔·귀뚜라미·린나이 보일러의 자주 뜨는 에러코드와 증상별 자가 해결 방법을 따뜻하고 현실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비사를 부르기 전 전원·가스·수압·배기만 점검해도 많은 문제가 해결됩니다.
서론 | 에러코드는 ‘문제의 힌트’입니다
난방이 멈추거나 온수가 미지근할 때, 조그만 화면에 뜨는 에러코드는 단순 경고를 넘어 원인을 알려주는 힌트입니다. 아래 표에 따라 간단한 점검과 안전한 재가동만으로 해결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다만 가스 냄새, 그을음, 누수가 보이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세요.
귀뚜라미 보일러 에러코드별 자가진단표
| 에러코드 | 증상/원인 | 자가 해결법 | 주의사항 |
|---|---|---|---|
| 01 / 02 | 점화 불량 | 가스밸브 확인 → 전원 OFF 후 5분 뒤 재가동 | 실내 환기 확보 |
| 03 / 04 | 과열·센서 이상 | 보일러 하단 필터 청소, 순환 상태 점검 | 반복 시 센서 점검 |
| 11 / 12 | 배기 불량 | 배기구/바람 센서 청소, 결로 제거 | 외부 요인(낙엽·눈) 잦음 |
| 14 / 16 | 수압 부족·순환 불량 | 수압 1.0~1.5 bar로 맞춤, 에어벤트로 공기빼기 | 수압 저하 반복 시 누수 의심 |
| 19 | 연통 센서 이상 | 센서 접점 먼지 제거 | 내부 분해 금지 |
Tip: 설치 초기엔 배관 공기가 남아 오류가 잦을 수 있어요. 에어벤트를 반 바퀴만 열어 공기를 살짝 빼주세요.
린나이 보일러 에러코드별 자가진단표
| 에러코드 | 증상/원인 | 자가 해결법 | 주의사항 |
|---|---|---|---|
| 11 / 12 | 점화 실패 | 가스밸브·전원·플러그 상태 확인 후 리셋 | 가스 냄새 시 즉시 차단 |
| 14 | 과열 경보 | 순환펌프 작동 확인, 배관 공기 제거 | 반복 시 점검 |
| 16 | 온도센서 이상 | 전원 재가동, 온도 설정 재입력 | 지속 시 센서 교체 |
| 20 / 21 | 수압 낮음 | 수압 1.0~1.5 bar로 맞춤 | 누수 여부 확인 |
| 72 / 74 | 외기온도 센서 이상 | 실외 센서 커넥터·노출 상태 점검 | 외부선 단선 주의 |
Tip: 멀티탭이나 헐거운 콘센트 사용 시 간헐 오류가 늘어납니다. 보일러는 단독 콘센트 사용을 권장합니다.
브랜드 공통 자가점검 체크리스트
| 점검 항목 | 정상 상태 | 점검 포인트 |
|---|---|---|
| 전원 | ON | 콘센트 꽂힘·차단기(두꺼비집) 확인 |
| 가스밸브 | 열림 | 손잡이가 배관과 평행이면 열림 |
| 수압 | 1.0~1.5 bar | 낮으면 급수밸브 살짝 열어 천천히 보충 |
| 배기구 | 막힘 없음 | 낙엽·눈·먼지 제거, 결로 확인 |
| 에어벤트 | 공기 없음 | 난방 초기/잡음 시 공기 빼기 |
| 모드 | 난방/온수 적정 | 계절에 맞게 모드·온도 재설정 |
자주 묻는 질문 (FAQ)
에러코드가 리셋해도 계속 반복돼요.
동일 코드 반복은 센서·메인보드 등 부품 이상 가능성이 큽니다. 안전을 위해 즉시 공식 서비스센터 점검을 받으세요.
수압이 자주 0.5bar 이하로 떨어져요.
내부 누수나 안전밸브 불량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반복 시 급수 중지 후 전문가 점검을 권장합니다.
장기간 보일러를 안 쓸 때는?
전원은 켠 채 동파방지(저온) 모드를 유지하세요. 콘센트를 뽑으면 동파·재점화 오류 위험이 커집니다.
배기구에서 하얀 연기가 많이 나와요.
추운 날 수증기일 수 있지만, 냄새·그을음이 동반되면 불완전연소 의심입니다.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점검을 받으세요.
마무리
보일러는 집안의 심장과 같습니다. 전원·가스·수압·배기·모드만 기억해도 대부분의 응급상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어요. 그래도 이상음·가스 냄새·누수 같은 위험 신호가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각 브랜드 공식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세요.